HOME   /   알림마당   /   웰다잉소식

    웰다잉소식

    [한겨레] ‘연명의료 중단’ 지난해에만 7만건…2명 중 1명만 ‘스스로 결정’ [건강한겨레]
    2025-10-08 11:59:32
    관리자
    조회수   28

    건강한겨레의료·보건

    ‘연명의료 중단’ 지난해에만 7만건…2명 중 1명만 ‘스스로 결정’

    [건강한겨레]

    서영석 의원실 분석 결과

    김보근기자

    지난 8월까지 대한민국에서 연명치료를 중단 사례가 45만건에 육박했다. 생성형 AI 퍼플렉시티 그림
    지난 8월까지 대한민국에서 연명치료를 중단 사례가 45만건에 육박했다. 생성형 AI 퍼플렉시티 그림

     

    지난해 연명의료 중단 사례가 7만 건을 넘은 것으로 확인됐다. 그러나 여전히 연명의료 중단에 대한 자기결정비율은 절반 수준인 것으로 확인됐다.

    국회 보건복지위원회 서영석 의원(더불어민주당, 부천시 갑)이 보건복지부에서 제출받은 자료와 국가생명윤리정책원이 발간한 ‘2024 연명의료결정제도 연보’를 분석한 결과, 2024년 한 해에만 연명의료 중단 사례가 7만61건을 기록했다고 밝혔다. 이는 2023년(7만720건)에 비해서는 소폭(659건, 0.9%) 감소한 수치지만, 2025년 8월까지 이행 건수는 약 5만2천 건에 달했다. 이에 따라 누적 기준으로는 44만8868명으로 약 45만 건에 이르렀다. 연명의료 결정이 우리 사회에서 빠르게 제도화되고 있음을 보여준다.

    사전연명의료의향서 등록자 수도 꾸준히 증가했다. 누적 등록 건수는 2025년 8월 기준 300만 건을 넘어섰으며 같은 해 신규 등록은 33만2834건으로 집계됐다. 등록기관 수도 2023년 686곳에서 2024년 760곳으로 10.8% 증가했다.

    한편 연명의료결정제도는 환자 본인이 말기나 임종기에 작성하는 연명의료계획서와 사전연명의료의향서, 그리고 환자가 의사 표현을 할 수 없을 때 가족이 대신 작성하는 환자가족진술서와 가족의사확인서로 구분된다. 그러나 통계를 보면 제도의 취지를 고려할 때 여전히 가족 결정 의존도가 높은 편이다.

    제도 시행 첫해인 2018년 자기결정 비율은 32.4%에 불과했고, 2024년에야 50.8%로 절반을 넘어섰다. 즉 여전히 환자 2명 중 1명은 본인 뜻이 아닌 가족의 판단에 따라 연명의료 중단 여부가 결정되고 있다는 의미다. 이러한 현실은 제도의 핵심 취지인 ‘자기결정권 보장’의 실현이 아직은 부족함을 보여준다.

    서영석 의원은 “우리 사회는 이제 초고령사회에 들어섰고 삶을 어떻게 존엄하게 마무리할 것인가에 대한 고민이 커지고 있다”며 “제도 시행 이후 연명의료 중단 누적 결정이 꾸준히 증가하는 현실은 웰다잉에 대한 인식이 확산되고 있음을 보여주지만 여전히 사전연명의료의향서 제도를 모르는 이가 많다”고 말했다.

    서 의원은 이어 “누구나 삶의 마지막까지 스스로 선택할 수 있도록 제도에 대한 인식과 접근성을 높이고, 존엄한 죽음을 넘어 더 나은 삶으로 이어질 수 있도록 정부가 책임 있게 나서야 한다”고 강조했다.

    김보근 선임기자 tree21@hani.co.kr

     

    기사원문보러가기 https://www.hani.co.kr/arti/hanihealth/medical/1222185.html?utm_source=chatgpt.com

    댓글

    댓글쓰기 권한이 없습니다.
    번호 제목 작성자 기사날짜 조회수 첨부 파일
    공지 [연합뉴스] '죽음 논의' 서툰 韓…국민 과반 "가족과 죽음 관련 대화 안 해" 관리자 2025-10-09 12
    공지 [동아일보] “신체-정신적으로 편안해야 품위 있는 죽음 …가족 부담 줄여야” 관리자 2025-10-09 14
    공지 [한겨레] ‘연명의료 중단’ 지난해에만 7만건…2명 중 1명만 ‘스스로 결정’ [건강한겨레] 관리자 2025-10-04 28
    81 [뉴스토마토] (헬스&사이언스)"나의 마지막은 내가 정한다" 사전연명의료의향서 300만 시대, 어디까지 왔나 관리자 2025-09-10 27
    80 [동아일보] [월요 초대석]“임종 임박해 내리는 연명의료 결정, 존엄한 삶 마지막 준비 역부족” 17 관리자 2025-09-08 73
    79 [뉴시스] 작년 무연고 사망자 6139명…국가 공식통계 없어 대안 마련 차질[무연고자 존엄사②] 관리자 2025-09-07 91
    78 [중앙일보] ‘사전연명의료의향서’ 300만 명 의미와 과제    관리자 2025-08-29 108
    77 [동아일보] [온라인 라운지]사실모, 금천구서 사전연명의료의향서 상담사 교육    관리자 2025-08-26 91
    76 [연합뉴스] [팩트체크] "존엄하게 죽고 싶다"…각국의 조력사망 허용 어디까지 관리자 2025-08-20 127
    75 [동아일보] 병동 곳곳 ‘내생명 내가 결정’ 문구…중증 치매도 연명의료 중단 가능 관리자 2025-08-19 95
    74 [머니투데이] ‘100분 토론’ 존엄하게 죽을 권리, 특권 되지 않으려면… 관리자 2025-08-19 92
    73 [중앙일보] “연명의료 안 받겠다” 300만명 넘어, 여성이 남성의 2배 관리자 2025-08-11 111
    72 [쿠키뉴스] “치매, 호스피스 돌봄으로 품어야”…전문가 “제도 정비” 한목소리 관리자 2025-08-05 99
    71 [주간조선] 연명치료의 자기결정권 "내 인생 마지막 누가 결정하나?" 관리자 2025-08-05 89
    70 [농민신문] [기획] ‘웰다잉’ 마지막을 존엄하게(9) 매주 죽음을 보는 유성호 법의학자가 웰다잉을 말하는 이유 관리자 2025-08-01 95
    69 [KBS] “호스피스·완화의료, 인식 바꾸고 제도 뒷받침” 관리자 2025-07-23 109
    68 [한국일보] 시신이 가볍단 말에 "편히 떠났구나" 안심… '좋은 애도'가 거기 있었다 [잘생, 잘사] 관리자 2025-07-10 114
    67 [한국일보] "잘 죽고 싶으면 이건 꼭 준비" ①원치 않는 치료 ②유언 [유예된 죽음] 관리자 2025-07-04 132
    1 2 3 4 5 6

    상담신청

    교육문의

    e 뉴스레터

    유튜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