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OME   /   알림마당   /   웰다잉소식

    웰다잉소식

    [조선일보] 당신이 말기 암 환자라면?… 10명 중 9명 "연명 치료 안 한다"
    2025-10-28 23:52:59
    관리자
    조회수   16

    당신이 말기 암 환자라면?… 10명 중 9명 "연명 치료 안 한다"

     

    기사 내용과는 무관한 사진. /게티이미지

    기사 내용과는 무관한 사진. /게티이미지

     

    당신이 더 이상의 치료가 무의미한 말기 암 환자라면 어떤 선택을 할까. 이 같은 질문에 성인 8%만이 연명 의료를 지속하겠다고 답했다. 나머지는 연명 의료 중단, 안락사, 의사 조력 자살을 원했다.

    17일 한국호스피스·완화의료학회에 따르면 성누가병원 김수정·신명섭 연구팀과 허대석 서울대 명예교수는 이런 내용의 설문조사를 토대로 한 논문을 대한의학회지(JKMS) 최신 호에 발표했다. 설문은 전국 성인 1000명을 대상으로 진행했다.

    ‘본인이 말기 암 환자라면 어떤 결정을 하겠는가’라는 질문에 응답자 중 41.3%가 ‘연명 의료 중단 등 결정’을 택했다. 무의미한 생명 연장을 목적으로 하는 의료 행위를 시작하지 않거나 중단하는 결정을 뜻한다. 인위적으로 생명을 단축·연장하지 않고 자연스럽게 죽음을 맞겠다는 것이다.

    ‘안락사’라고 답한 응답자는 35.5%였고 ‘의사 조력 자살’은 15.4%의 응답률을 보였다. 두 경우 모두 의사가 환자 요청에 따라 죽음을 유도하는 약물을 처방하는 방식이다. 다만 안락사는 의사가 직접 약물을 투여하고, 의사 조력 자살은 환자 스스로 처방받은 약물을 복용한다는 차이가 있다.

    연명 의료를 지속하겠다는 응답은 7.8%에 그쳤다. 연구팀은 “국민 다수는 삶을 인위적으로 단축하는 것을 원하지 않았다”며 “무의미한 연명 치료로 인한 고통의 연장을 거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고 설명했다.

    한편 연구팀은 한국 사회가 여전히 ‘연명 의료 중단 등 결정’ ‘안락사’ ‘의사 조력 자살’ 등 용어 개념을 혼동하고 있다고 짚었다. 특히 ‘존엄사’(death with dignity)라는 주관적 용어가 다양한 의료 행위를 구분하지 못해 혼란을 야기한다고 지적했다.

    연구팀은 “존엄사라는 표현이 따뜻하게 들리지만 실제 의료 행위의 법적·윤리적 구분을 흐리게 한다”며 “기존 여론조사 결과를 왜곡할 가능성이 있다”고 했다.

     

    기사원문보러가기 https://www.chosun.com/national/national_general/2025/10/17/UUVBU3IBCBCCPJJWOSS6IGYVJA/?utm_source=chatgpt.com

    * 대한의학회지 논문 :  0063JKMS_jkms-40-e283.pdf

    댓글

    댓글쓰기 권한이 없습니다.
    번호 제목 작성자 기사날짜 조회수 첨부 파일
    공지 [뉴시스] "연명의료 안 받겠다"…존엄한 마무리 5만건 돌파 관리자 2025-10-26 17
    공지 [서울경제] [만화경] 품위있는 죽음과 장기 기증 관리자 2025-10-21 13
    공지 [중앙일보] 콧줄 꼈어도 카페 데려가라…말기암 환자 웃게하는 법 [Health&]    28 관리자 2025-10-20 34
    공지 [조선일보] 당신이 말기 암 환자라면?… 10명 중 9명 "연명 치료 안 한다"    관리자 2025-10-17 16
    공지 [서울신문] ‘평균 대기 4년’ 장기 기증…‘심정지 후 기증’ 추진한다 관리자 2025-10-17 34
    공지 [한겨레] “존엄사, 따뜻하지만 위험한 말”…말기환자 의료결정 용어 혼란 여전 관리자 2025-10-16 18
    공지 [연합뉴스] '죽음 논의' 서툰 韓…국민 과반 "가족과 죽음 관련 대화 안 해" 관리자 2025-10-09 33
    공지 [동아일보] “신체-정신적으로 편안해야 품위 있는 죽음 …가족 부담 줄여야” 1 관리자 2025-10-09 36
    공지 [한겨레] ‘연명의료 중단’ 지난해에만 7만건…2명 중 1명만 ‘스스로 결정’ [건강한겨레] 관리자 2025-10-04 57
    87 [뉴스토마토] (헬스&사이언스)"나의 마지막은 내가 정한다" 사전연명의료의향서 300만 시대, 어디까지 왔나 관리자 2025-09-10 64
    86 [동아일보] [월요 초대석]“임종 임박해 내리는 연명의료 결정, 존엄한 삶 마지막 준비 역부족” 17 관리자 2025-09-08 96
    85 [뉴시스] 작년 무연고 사망자 6139명…국가 공식통계 없어 대안 마련 차질[무연고자 존엄사②] 관리자 2025-09-07 105
    84 [중앙일보] ‘사전연명의료의향서’ 300만 명 의미와 과제    관리자 2025-08-29 127
    83 [동아일보] [온라인 라운지]사실모, 금천구서 사전연명의료의향서 상담사 교육    관리자 2025-08-26 104
    82 [연합뉴스] [팩트체크] "존엄하게 죽고 싶다"…각국의 조력사망 허용 어디까지 관리자 2025-08-20 211
    81 [동아일보] 병동 곳곳 ‘내생명 내가 결정’ 문구…중증 치매도 연명의료 중단 가능 관리자 2025-08-19 107
    80 [머니투데이] ‘100분 토론’ 존엄하게 죽을 권리, 특권 되지 않으려면… 관리자 2025-08-19 105
    79 [중앙일보] “연명의료 안 받겠다” 300만명 넘어, 여성이 남성의 2배 관리자 2025-08-11 128
    78 [쿠키뉴스] “치매, 호스피스 돌봄으로 품어야”…전문가 “제도 정비” 한목소리 관리자 2025-08-05 109
    77 [주간조선] 연명치료의 자기결정권 "내 인생 마지막 누가 결정하나?" 관리자 2025-08-05 101
    76 [농민신문] [기획] ‘웰다잉’ 마지막을 존엄하게(9) 매주 죽음을 보는 유성호 법의학자가 웰다잉을 말하는 이유 관리자 2025-08-01 106
    75 [KBS] “호스피스·완화의료, 인식 바꾸고 제도 뒷받침” 관리자 2025-07-23 119
    74 [한국일보] 시신이 가볍단 말에 "편히 떠났구나" 안심… '좋은 애도'가 거기 있었다 [잘생, 잘사] 관리자 2025-07-10 123
    73 [한국일보] "잘 죽고 싶으면 이건 꼭 준비" ①원치 않는 치료 ②유언 [유예된 죽음] 관리자 2025-07-04 147
    1 2 3 4 5 6

    상담신청

    교육문의

    e 뉴스레터

    유튜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