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OME   /   알림마당   /   웰다잉소식

    웰다잉소식

    [연합뉴스] '죽음 논의' 서툰 韓…국민 과반 "가족과 죽음 관련 대화 안 해"
    2025-10-13 17:06:00
    관리자
    조회수   13

    보사연 보고서…"고령화로 죽음에 대해 고민하는 시간 증가할 것"

    [연합뉴스TV 제공]

    [연합뉴스TV 제공]

     

    (서울=연합뉴스) 권지현 기자 = "명절에 가족들이 다 모인 자리에서 장례 준비 이야기를 터놓고 하기는 어렵더라고요. 할머니 모르게 일단 장례 방식은 화장으로 하기로 결정했어요."

    경기도에 거주하는 A씨의 할머니는 아흔에 가까운 나이다.

    또 반대로 '가족으로부터 이러한 이야기를 들은 적이 있나'라는 물음에도 57.7%가 '없다'고 답했다. 국민의 절반 이상이 본인의 죽음에 대해 가장 가까운 가족들과도 대화하지 않는다는 얘기다.

    보사연은 "고령화로 인해 2020년 우리나라 사망자 수가 처음으로 30만명을 돌파했고 2022년에는 37만명에 달했다"며 "가까운 사람의 죽음을 경험할 사람들과 죽음에 대해 고민하는 시간은 증가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응답자들은 죽음에 대한 대화를 꺼리면서도, 본인의 사망 전 과정에서의 통증이나 가족의 부담에 대해 걱정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좋은 죽음을 맞이하기 위한 요소(1∼3순위 선택)' 조사에서 가장 많이 나온 응답은 '죽을 때 신체적인 통증을 가급적 느끼지 않는 것'이었다.

    두 번째는 '가족이 나의 병수발을 오랫동안 하지 않는 것', 세 번째는 '가족이 나의 간병 과정에서 경제적 부담을 많이 느끼지 않도록 하는 것'이었다. '임종 시 가족과 친구가 곁에 있어 주는 것'이라는 응답은 최하위였다.

    한편, 좋은 죽음을 맞이하기 위해 필요하다고 생각하는 정책 키워드를 조사한 결과 모든 연령대에서 '본인 의사 존중'이 가장 많이 나왔다.

    또 응답자의 91.9%는 말기 및 임종기 환자가 됐을 때 연명의료 결정 제도에 따라 연명의료를 중단할 의향이 있다고 답했으며, 82.0%는 조력 존엄사 합법화에 동의했다.

    [한국보건사회연구원 보고서]

    [한국보건사회연구원 보고서]

     

    전문가들은 죽음에 대한 자기 결정권을 존중하는 방향으로 이에 대한 논의를 활성화해야 한다고 제언했다.

    윤영호 서울대학교 가정의학과 교수는 "사회가 자연스럽게 죽음을 이야기할 기회와 분위기를 만들어줘야 한다"며 의료기관을 중심으로 한 사전돌봄계획(ACP)이 보편화해야 한다고 말했다.

    윤 교수는 ACP란 "건강할 때, 중증 질환을 진단받았을 때, 치료가 불가능한 질병으로 죽음에 이를 수 있는 생애 말기의 순간에 걸쳐 의료기관에서 전문가 상담을 통해 3번의 돌봄 결정권을 주는 것"이라고 설명하며 "국가 차원에서 죽음을 맞이하는 모든 환자의 존엄한 죽음을 지원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이미진 건국대학교 사회복지학과 교수는 "죽음은 노인뿐만 아니라 어린아이들도 경험할 수 있는 보편적 현상인데, 이를 제대로 직면하지 않아 죽음을 거부하거나 회피하는 경향이 생기기도 한다"며 "생명에 대한 소중함을 알려주는 차원에서라도 생애 주기별로 죽음을 건강하게 받아들이도록 교육하고, 사망 전후 과정에서 가족과 본인의 뜻이 다르면 터놓고 상의하는 문화가 필요하다"고 말했다.

    fat@yna.co.kr

     

    기사원문보러가기 https://www.yna.co.kr/view/AKR20251008039100530?input=1195m

    댓글

    댓글쓰기 권한이 없습니다.
    번호 제목 작성자 기사날짜 조회수 첨부 파일
    공지 [연합뉴스] '죽음 논의' 서툰 韓…국민 과반 "가족과 죽음 관련 대화 안 해" 관리자 2025-10-09 13
    공지 [동아일보] “신체-정신적으로 편안해야 품위 있는 죽음 …가족 부담 줄여야” 관리자 2025-10-09 14
    공지 [한겨레] ‘연명의료 중단’ 지난해에만 7만건…2명 중 1명만 ‘스스로 결정’ [건강한겨레] 관리자 2025-10-04 28
    81 [뉴스토마토] (헬스&사이언스)"나의 마지막은 내가 정한다" 사전연명의료의향서 300만 시대, 어디까지 왔나 관리자 2025-09-10 28
    80 [동아일보] [월요 초대석]“임종 임박해 내리는 연명의료 결정, 존엄한 삶 마지막 준비 역부족” 17 관리자 2025-09-08 73
    79 [뉴시스] 작년 무연고 사망자 6139명…국가 공식통계 없어 대안 마련 차질[무연고자 존엄사②] 관리자 2025-09-07 91
    78 [중앙일보] ‘사전연명의료의향서’ 300만 명 의미와 과제    관리자 2025-08-29 108
    77 [동아일보] [온라인 라운지]사실모, 금천구서 사전연명의료의향서 상담사 교육    관리자 2025-08-26 91
    76 [연합뉴스] [팩트체크] "존엄하게 죽고 싶다"…각국의 조력사망 허용 어디까지 관리자 2025-08-20 127
    75 [동아일보] 병동 곳곳 ‘내생명 내가 결정’ 문구…중증 치매도 연명의료 중단 가능 관리자 2025-08-19 95
    74 [머니투데이] ‘100분 토론’ 존엄하게 죽을 권리, 특권 되지 않으려면… 관리자 2025-08-19 92
    73 [중앙일보] “연명의료 안 받겠다” 300만명 넘어, 여성이 남성의 2배 관리자 2025-08-11 111
    72 [쿠키뉴스] “치매, 호스피스 돌봄으로 품어야”…전문가 “제도 정비” 한목소리 관리자 2025-08-05 99
    71 [주간조선] 연명치료의 자기결정권 "내 인생 마지막 누가 결정하나?" 관리자 2025-08-05 89
    70 [농민신문] [기획] ‘웰다잉’ 마지막을 존엄하게(9) 매주 죽음을 보는 유성호 법의학자가 웰다잉을 말하는 이유 관리자 2025-08-01 95
    69 [KBS] “호스피스·완화의료, 인식 바꾸고 제도 뒷받침” 관리자 2025-07-23 110
    68 [한국일보] 시신이 가볍단 말에 "편히 떠났구나" 안심… '좋은 애도'가 거기 있었다 [잘생, 잘사] 관리자 2025-07-10 115
    67 [한국일보] "잘 죽고 싶으면 이건 꼭 준비" ①원치 않는 치료 ②유언 [유예된 죽음] 관리자 2025-07-04 133
    1 2 3 4 5 6

    상담신청

    교육문의

    e 뉴스레터

    유튜브